화면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으신가요? 브라우저를 업데이트해주세요!익스플로어 업데이트 크롬브라우저 다운로드
방방콕콕어플로 더욱 편리하게 국내여행을 즐겨보세요. 방방콕콕 구글 플레이 |방방콕콕 앱스토어

방방콕콕

tour

[경북] 의성 고운사

  • 위치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길 415길찾기
  • 안내전화 054-833-2324
  • 입장료무료
  • 이용시간 홈페이지 참고
  • 휴무일 홈페이지 참고
  • 홈페이지 www.gounsa.net

해동 화엄종의 시조가 창건한 사찰.

681년 신라 신문왕 때 해동 화엄종의 시조이신 의상대사께서 창건한 절로 그 문화적 가치와 역사적 가치가 훌륭한 사찰입니다.

[의성콕콕!] 천년 숲 속 고찰의 신비함을 찾아, '의성 고운사'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에 위치한 고운사는 신라 신문왕 원년(서기 681년)에 해동 화엄종의 시조이신 의상대사께서 창건하신 사찰로
현재 대한 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로서 의동, 안동, 영주, 봉화, 영양의 5개군에 산재한 60여 대-소 사찰들을 관장하고 있는 거찰입니다.
 
고운사의 일주문은 가장 아름답고 한국적인 일주문으로 유명할 만큼 그 자태가 아름답습니다.
일주문은 사찰의 입구로 세간과 출세간의 경계입니다.

 
일주문을 들어서면 다음으로 통과하는 문이 천왕문입니다.
동서남북을 관장하며 불법을 수호하는 사천왕이 무서운 얼굴로 문을 지키고 서있어 사찰 안으로 나쁜 기운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준다고 합니다.
지금도 거의 30개의 건물이 세워진 큰 규모의 고찰이지만,
사세가 가장 번창했던 고려 시대에는 14개군의 사찰을 관장하며 암사와 전각이 366칸에 달하였고 200여 대중이 상주했던 대도량이었다고 합니다.
현존하는 유물과 유적으로는 도선국사가 조성한 석조석가여래좌상(보물 제246호)과 가운루, 삼층석탑, 연수전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여러 번의 중수를 거치고 새로 신축하여 색이 선명한 전각들 사이에 오랜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연수전의 모습이 더욱 눈길이 갑니다.
극락전, 약사전, 명부전, 삼성각, 용왕당 등 사찰에 가면 볼 수 있는 모든 전각들을 고운사에서 다 볼 수 있는 듯합니다.
그만큼 오래된 법당도 많고 많은 불상을 모시고 있어 우리나라의 역사를 느낄 수 있는 고찰입니다.
대웅보전은 1992년에 완공된 50평 규모의 큰 법당으로 석가모니불과 문수보살, 보현보살을 모시고 있습니다.
원래는 나한전 건물이 현 대웅보전 자리에 있었는데, 대웅보전을 신축하면서 건물을 이전하고 나한전으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나한전에는 16나한을 모시고 있습니다.
나한전 앞에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8호로 지정되어있는 고운사 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도선이 조성한 석탑이 지금까지 남아있는 것이라고 하는데,
전체적으로 석재가 많이 닳아있고 귀퉁이가 떨어져 있는 등 일부가 소실된 모습에서 그 세월의 풍파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고운사에는 유명한 '호랑이 벽화'가 있습니다.
조선시대에 그려진 벽화인데 사방 어디에서 봐도 호랑이 눈을 피해 갈 수 없는 신기한 벽화랍니다.

 

 
 주차장에서부터 일주문까지 약 3km 되는 숲길을 걸어야 도착하는 고운사.
천년의 숲이라고 불리는 아름답고 신비감이 느껴지는 고운사 길을 지나 고운사까지 가는 것만으로도 마음속의 안식을 찾고 힐링이 되어줍니다.
천년의 숲 속 고찰의 매력을 느껴보세요. 
 
지도 주소 :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길 415 길찾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