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콕콕!] 역사를 기억하려는 시민들의 공간, 국채보상운동기념관
대구 중구 동인동에는 국채보상기념공원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1980년대부터 이 위치에 공원(구 동인공원)이 있었지만, 1999년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으로 재단장했습니다.
4만 3000㎥ 면적의 공원은 대왕참나무 오솔길과 소나무 숲, 분수와 정자 등이 있어
굵직굵직한 행사들이 이곳에서 열리기도 하고, 대구 시민의 휴식처가 되기도 합니다.
국채보상운동기념관은 2007년 국채보상운동 100주년을 기념하여 건립이 결의되고,
2011년 10월 공원 내에 개관하게 되었다고 하는데요,
현대미와 전통미가 조화된 건물이 공원 한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기념관은 두 개의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고, 제1전시실은 지하 1층에 마련되어 있습니다.
제1전시실은 국채보상운동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역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게끔 조성되어 있습니다.
국채보상운동, 역사 책에 자주 등장하는 이름이지만 어떤 운동인지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죠?
일제강점기 시절, 일제는 식민지 기초사업을 벌이면서
당시 정부로 하여금 일본으로부터 차관을 도입하게끔 유도하였는데요,
한 마디로 고이율의 빚을 지게끔 유도하고, 그것을 약점 삼아 우리나라의 경제주권을 찬탈하려던 속셈이었던 겁니다.
일본으로부터 들인 차관 총액은 1300만원에 달했다고 합니다.
당시의 1300만원은 대한 제국의 1년 예산과 맞먹는 돈이었다고 하는데요,
현재의 대한민국의 1년 예산이 200조가 넘는다고 하니,
당시 국력을 고려하더라도 꽤 큰 금액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서상돈이 <대한매일신보>에
"국채 1300만원은 바로 우리 대한제국의 존망에 직결되는 것으로 갚지 못하면
나라가 망할 것인데, 국고로는 해결할 도리가 없으므로 2000만 인민들이 3개월 동안 흡연을 폐지하고
그 대금으로 갚아 국가의 위기를 구하자"는 국채 보상 취지문을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은 전국으로 퍼져나갔는데요,
대구 시민들이 독립운동에 대한 자부심을 갖는 다양한 이유 중 하나가
최초의 경제적 주권 회복 운동인 국채보상운동의 발원지가 대구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기념관에는 국채보상운동이 일어난 대구의 주요 거점지역이 표시되어 있고,
당시의 분위기를 알 수 있는 다양한 모형이 설치되어 있어 관람하는 사람들의 흥미를 자아냅니다.
제1전시실이 국채보상운동의 시작과 활발한 전개를 다룬 곳이라면
1층에 위치한 제2전시실은 국채보상운동의 좌절과 그 후에 관련한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
전국적 규모의 국채보상운동에 놀란 일제 통감부가 운동을 탄압하는 방법으로
대한매일신보사의 국채보상기성회에서 회계책임을 맡은 양기탁을 횡령 혐의로 구속했다고 하는데요,
이 사건을 계기로 국채보상운동이 퇴조했다고 합니다.
국채보상운동의 의의는 여전히 우리에게 기억되고 있는데요,
우리 역사 5천 년의 최초의 국민운동이라는 점에서 오래 기억되어야 할 사건입니다.
우리는 역사 책에서 국채보상운동의 계기와 의의를 배우지만
당시의 분위기나 어떻게 전개되었는지에 대한 지식은 사실 학교에서 배울 수 없습니다.
이곳 기념관에서는 살아있는 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국채보상운동에 대한 이모저모가 소개되어 있는데요,
국채보상운동이 한 편의 이야기처럼 전시되어 있어서 아이들과 함께 가도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국채보상운동이 전개된 이후에 대한 역사적 지식을 얻을 수도 있고,
우리가 살고있는 이 시점에 대한 다양한 전망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공간입니다.
국채보상운동에 대한 전시 관람 이후에 관람과 관련된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국채보상운동 내용에 대한 퍼즐 맞추기와
아이들이 방문 기억을 오래 간직할 수 있도록 무료로 제공하는 탁본체험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채보상운동과 관련한 영상을 상영하는 듯한데요,
정기적 상영인지에 대한 여부는 방문시 기념관 안내에서 물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국채보상운동기념관 역시 경상북도 예산과 시민들의 성금으로 조성된 것이라고 하니
역사를 기억하려는 지역의 움직임이 활발한 것처럼 느껴집니다.
시내에 위치해 있어 접근성도 좋고, 공원 안에 위치해 있어 아이들과 함께 가기도 좋은
역사적 의미가 가득 한 국채보상운동기념관에 방문해보시길 바랍니다^^